-
OBS 프레임 부드럽게 만드는 법. 비트레이트도 높이고 60프레임 설정했는데 왜 안 매끄러울까?카테고리 없음 2025. 4. 25. 16:02728x90
게임 방송이나 녹화를 위해 OBS를 사용하는 분들, 혹시 이런 고민 해보신 적 있나요?
“비트레이트 8000에 60프레임으로 설정했는데… 왜 이렇게 안 부드럽지?”
“영상이 버벅거리거나 프레임이 뚝뚝 끊겨 보여요 ㅠㅠ”사실 OBS 설정은 단순히 숫자만 높인다고 해결되지 않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OBS에서 실제로 부드러운 영상 출력을 만들기 위해 꼭 확인해야 할 핵심 설정 포인트들을 정리해드릴게요!
✅ 1. 게임 자체가 60FPS 이상 나오고 있는지 확인!
OBS는 화면을 그대로 캡쳐하는 구조라,
게임 자체가 30FPS면 OBS도 30FPS로밖에 녹화하지 못합니다.✔️ 확인 포인트:
- 게임 내 옵션에서 FPS 제한이 걸려 있는지 체크
- G-Sync/FreeSync 기능이 있는 경우 일시적으로 해제
- 듀얼 모니터 사용 시, 주 모니터 주사율 60Hz 이상인지 확인
✅ 2. 인코더 설정 제대로 하기 (CPU vs GPU)
OBS는 인코딩 방식에 따라 성능 차이가 큽니다.
🎯 추천 인코더:
- NVIDIA 사용자 → NVENC (new)
- AMD 사용자 → H.264/AVC AMF (또는 x264)
- 내장 그래픽 사용 → x264, 단 CPU 성능 중요
✅ **NVENC (new)**는 CPU 부담을 줄이고 훨씬 안정적인 프레임 유지가 가능합니다.
✅ 3. 비트레이트보다 중요한 건 ‘드롭 프레임 없는 설정’
비트레이트가 높아도 컴퓨터가 감당 못하면 드롭프레임이 발생합니다.
🔧 권장 설정:
항목추천 값해상도 1280x720 또는 1920x1080 FPS 60 (고사양) / 30 (저사양) 비트레이트 6000~8000kbps (트위치 기준) 인코딩 프로파일 high 키프레임 간격 2 Rate Control CBR (고정 비트레이트) 📌 참고: 유튜브는 9000~12000kbps도 가능하지만, 업로드 속도에 따라 다름
✅ 4. 인터넷 업로드 속도 확인 (스트리밍 시)
스트리밍의 경우, 비트레이트보다 업로드 속도가 더 중요합니다.
💡 기준:
- 업로드 속도 최소 10Mbps 이상이어야 8000kbps 유지 가능
- 속도 확인: fast.com 또는 speedtest.net
✅ 5. 시스템 자원 점검 (CPU/GPU 사용률)
영상이 끊기는 가장 큰 원인은 컴퓨터 사양 부족일 수 있습니다.
- 방송 중 작업 관리자(Ctrl+Shift+Esc) 켜서
→ CPU, GPU 점유율 90% 이상이라면 프레임 드랍 가능성 높음
📌 대처법:
- 해상도 낮추기 (예: 1080p → 720p)
- FPS 60 → 30으로 줄이기
- 백그라운드 프로그램 종료
✅ 6. OBS가 외장 GPU를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 (노트북 사용자 필수)
노트북은 내장그래픽(Intel)과 외장그래픽(NVIDIA, AMD)이 함께 있는 경우가 많아요.
📌 설정 방법 (NVIDIA 기준):
- NVIDIA 제어판 열기
- ‘프로그램 설정’ → OBS Studio 선택
- ‘고성능 NVIDIA 프로세서’로 지정
✅ 7. OBS 하단의 ‘드롭프레임’ 상태 꼭 체크!
OBS 실행 후 하단 상태 표시줄에 드롭프레임이 뜬다면,
설정이 무겁거나 인터넷 상태가 불안정하다는 뜻입니다.🎯 드롭프레임이 없을 때 진짜 60FPS가 나오는 영상입니다!
✨ 마무리 요약
체크리스트점검 사항게임 FPS 60 이상인지 확인 인코더 NVENC (GPU) 사용 추천 비트레이트 업로드 속도와 균형 맞추기 해상도/FPS 시스템에 맞춰 최적 설정 조절 GPU 설정 외장 그래픽카드로 강제 설정
📌 한 줄 결론
60프레임 설정만으로는 부족합니다!
진짜 부드러운 방송은 '설정 밸런스 + 시스템 환경 + 네트워크 조건'이 조화를 이뤄야 가능합니다 😊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