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VS Code에서 변경된 파일 되돌리기 (커밋 없이 복구하는 방법)카테고리 없음 2025. 3. 7. 12:44728x90
코딩을 하다 보면 실수로 설정을 건드려서 수천 개의 파일이 변경되거나 삭제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. 특히 Git을 사용하지 않거나, 커밋을 하기 전에 변경된 파일을 되돌리고 싶을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? 이번 글에서는 VS Code에서 변경된 파일을 되돌리는 방법을 상황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.
✅ 1. Git을 사용 중이라면? (Git이 설정된 프로젝트)
Git이 설정된 프로젝트에서 작업 중이었다면, 커밋을 하지 않아도 checkout 또는 restore 명령어를 통해 마지막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.
🔹 1) 모든 변경 사항 되돌리기
- VS Code의 터미널 열기
- 단축키: Ctrl + ~ (백틱)
- 또는 [보기] → [터미널] 클릭
- 다음 명령어 입력또는→ 모든 변경 사항이 초기화되고 마지막 커밋 상태로 되돌아갑니다.
- git restore .
- git checkout .
- VS Code 소스 제어(Source Control) 탭에서 확인
- 변경된 파일이 사라졌는지 확인하세요.
⚠ 주의:
-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모든 변경 사항이 삭제되므로 되돌리고 싶지 않은 파일이 있는 경우 주의하세요.
- 특정 파일만 되돌리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. 또는
git checkout 파일명
git restore 파일명
✅ 2. Git을 사용하지 않는다면? (로컬 파일 복구)
Git을 설정하지 않은 프로젝트라면, VS Code의 자동 저장 기록(Timeline 기능)이나 확장 프로그램(Local History)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🔹 1) VS Code의 Timeline 기능 활용하기
VS Code는 저장될 때마다 자동으로 파일 기록을 남깁니다.
- 되돌리고 싶은 파일을 VS Code에서 열기
- 탐색기(Explorer)에서 파일을 우클릭 → [Timeline] 탭 선택
- 이전 버전 기록을 선택한 후 Restore(복원) 클릭
💡 만약 Timeline이 보이지 않는다면?
- 해당 파일이 한 번도 저장된 적이 없거나,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일 수 있습니다.
🔹 2) Local History 확장 프로그램 사용하기
Git 없이도 파일 변경 이력을 추적하고 싶다면 "Local History"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됩니다.
- VS Code 확장 프로그램 마켓에서 "Local History" 검색
- 설치 후 파일의 변경 내역 확인 가능
- 원하는 버전을 선택하고 "Restore" 버튼을 눌러 복구
📌 Local History 확장 프로그램의 장점
✅ Git 없이도 변경 이력을 저장
✅ 특정 시점의 코드로 쉽게 되돌릴 수 있음
✅ 실수로 삭제한 파일도 복구 가능
✅ 3. 실수로 삭제한 파일 복구하는 방법
만약 변경된 것이 아니라 파일 자체를 삭제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
🔹 1) VS Code 휴지통(Undo) 기능 활용
VS Code에서 파일을 삭제했다면 Ctrl + Z를 눌러 바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.
🔹 2) 프로젝트 폴더에서 직접 복구
- Windows: Ctrl + Z (폴더 내에서 실행)
- Mac: Cmd + Z
- 휴지통에서 삭제된 파일 확인 후 복구
✅ 결론: 상황에 맞는 방법으로 되돌리기!
변경된 파일을 되돌리는 방법은 Git 사용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.
상황 해결 방법
Git을 사용 중이라면 git checkout . 또는 git restore . 명령어 사용 Git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VS Code의 "Timeline 기능" 활용 파일 변경 이력을 유지하고 싶다면 "Local History" 확장 프로그램 설치 파일을 삭제했다면 Ctrl + Z 또는 휴지통에서 복구 VS Code에서 실수로 파일을 변경하거나 삭제했을 때, 당황하지 말고 위 방법을 활용해 보세요! 😊
728x90 - VS Code의 터미널 열기